"같이"는 '함께'를 의미하고, "가치"는 '중요성' 또는 '의미'

모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거나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

건설공사 및 법규관련/조달청

📢 2025년 전기공사 시중노임단가 총정리! (기준·적용사례·법적근거 완벽 해설)

Gatchi(같치) 2025. 5. 11. 19:56
728x90
반응형
SMALL

 

건설 현장에서 가장 민감한 이슈 중 하나가 바로 노임단가입니다. 특히 전기공사는 고난도의 기술과 안전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전기공사 시중노임단가와 함께, 적용 기준과 반영해야 하는 사유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시중노임단가란?

시중노임단가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기능인력의 1일 평균 임금을 말합니다. 이 단가는 주로 공공공사 예정가격 산정계약금액 조정 시 노무비 산출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 법적 근거:
    • 「통계법」 제17조에 따른 지정통계 (승인번호: 제365004호)
    • 고용노동부대한건설협회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조사 및 공표
  • 📌 조사 방법:
    • 자계식 우편조사, 인터넷조사, 현장실사 병행
    • 조사 기준: 매년 상·하반기 기준으로 8시간/1일 단가 산출
반응형

📊 2025년 전기공사 직종별 시중노임단가 비교표

직종2024년2025년증감률
내선전공 (배선공) 270,251원 268,915원 –0.5% (감소)
고압케이블전공 363,241원 370,529원 +2.0% (상승)
송전전공 597,707원 627,960원 +5.1% (상승)
송전활선전공 636,410원 662,709원 +4.1% (상승)
배전전공 402,085원 408,559원 +1.6% (상승)
배전활선전공 563,401원 557,881원 –1.0% (감소)
 
  • 2025년 전기공사 분야에서는 송전활선전공이 가장 높은 일급인 662,709원을 기록했습니다.
  • 반면, 내선전공배전활선전공은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728x90

📌 시중노임단가 적용 시기 및 활용 사유

💡 활용 상황

  1. 공사 예정가격 작성 시
    • 공공공사의 예정가격 산정 시 노무비 산출 기준으로 적용
  2.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시
    • 계약 체결 후 물가변동 시, 시중노임단가에 따라 조정
  3. 노무비 산출 시
    • 현장 공사 수행 인건비 산출의 기준
  4. 공공기관 예산 편성 시
    • 인건비 예산 책정에 기준으로 활용
BIG

📢 반영해야 하는 주요 사유

  • 건설현장의 인건비 상승
  • 물가변동률 반영 필요
  • 건설공사의 계약금액 조정 요구
  • 정부 및 발주처의 지침 변경
  • 건설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 요구

📖 관련 법령 및 자료 링크


💬 마무리 한 마디
건설업계에서 노임단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과 근로자의 권익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전기공사는 고난도 기술과 높은 위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 단가를 확인하고, 사업계획에 적극 반영해야 합니다.

이번 정리를 통해 2025년도 사업 전략을 보다 탄탄하게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