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는 '함께'를 의미하고, "가치"는 '중요성' 또는 '의미'

모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거나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

건설공사 및 법규관련/조달청

🔥 2025년 소방시설공사 시중노임단가 총정리 가이드

Gatchi(같치) 2025. 5. 13. 21:41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728x90

BIG

 

📖 1. 소방시설공사 노임단가란?

소방시설공사 노임단가는 공공공사 예정가격 산정 시 직접노무비로 반영되는 핵심 자료입니다. 대한건설협회, 한국소방시설협회 등에서 매년 공표하며, 공사비 산정, 입찰, 계약, 하도급 대금 결정 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 2. 법적 근거 및 공표 주체

  • 법적 근거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 「건설산업기본법」 제31조
    • 기획재정부 고시 ‘예정가격 작성요령’
  • 공표 기관
    • 대한건설협회, 한국소방시설협회

💡 Tip: 법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입찰 시 계약 금액 협상과 민원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3. 2025년 상반기 주요 직종별 시중노임단가

직종명2025년 상반기 노임단가 (원/일)전년 대비 증감률 (%)
보통인부 169,804 +1.63
특별인부 221,506 +1.00
배관공 229,664 +0.08
배관공(수도) 248,510 +2.19
보일러공 230,103 -
위생공 214,222 +0.45
덕트공 207,557 +0.25
보온공 214,086 +4.80
기계설비공 242,281 +3.66
플랜트배관공 318,247 +2.61
플랜트용접공 289,294 +1.12
플랜트기계설치공 238,910 -0.73
플랜트보온공 244,203 +1.10
플랜트계장공 205,259 -3.15
 

✅ 적용 기준: 1일 8시간 기준 (일부 직종은 6시간 기준)


📌 4. 노임단가 적용 시 유의사항

구분주요 내용
적용 시점 공고일 기준 최근 공표된 노임단가 적용
적용 범위 예정가격 산정 시 직접노무비만 반영
초과근무 법정 근로시간 초과 시 별도 단가 협의 필요
간접노무비 일반관리비, 이윤 등 별도 산정 필요
단가 변경 계약 변경 시 노임단가 변동 반영 필수
 

📢 중요: 소방공사는 안전과 직결되므로,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관리 인건비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5. 2025년 노임단가 상승 주요 요인

  • 물가 상승: 건설자재 및 생활물가 인상 반영
  • 인건비 인상 압력: 최저임금 상승, 노동시장 인력 부족
  • 공정별 인력 수급 문제: 보온공, 기계설비공 인력 부족 현상
  • 중대재해처벌법 영향: 안전관리비 상승

📐 6. 소방시설공사 품셈 적용 실무 사례

  • 예시: 스프링클러 설치공사
    • 공정: 배관 설치 → 헤드 설치 → 압력시험 → 도장
    • 적용 품셈: 2024년 소방공사 표준품셈
    • 인원: 배관공 2명, 보통인부 1명
    • 작업량: 100m 기준 인력 소요시간 산정

📌 실무 Tip: 예정가격 산정 시 표준품셈과 노임단가를 함께 적용해 적정한 공사비를 산출해야 하며, 공정별 인력 소요를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 7. 노임단가 인상에 따른 예정가격 영향 분석

  • 공사비 증가 요인
    • 총공사비 중 직접노무비 비중 약 30~40%
    • 노임단가 2% 인상 시, 공사비 약 0.6~0.8% 상승 예상
  • 발주처 협상 전략
    • 노임단가 인상 자료를 근거로 추가 계약금 확보
  • 하도급 계약 시
    • 하도급법에 따라 인상분 반영 여부를 계약서에 명시

📚 8. 참고자료 및 링크


💡 결론: 2025년 소방공사 노임단가는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특히 보온공, 기계설비공 분야의 인건비 인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실무에서는 표준품셈과 노임단가를 정확히 반영해 적정 공사비를 산출하고, 하도급 계약 시에는 노임단가 인상분 반영 여부를 명확히 기재해야 향후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